[청소년 소수자를 만나다④] 장애학생 강단영·이종선[청소년 소수자를 만나다④] 장애학생 강단영·이종선
Posted at 2012. 9. 28. 16:28 | Posted in 활동소식/청소년 소수자를 만나다[청소년 소수자를 만나다④] 장애학생 강단영·이종선
오는 10월 5일이면 경기도교육청이 전국에서 최초로 경기도학생인권조례를 공포한 지 2년이 된다. 이후 서울, 광주 등 다른 지역 교육청에서도 학생인권조례를 만들어 시행 중이다. 경기도학생인권조례가 학생인권 존중이라는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학교 문화를 바꾸는 데 주도적인 역할을 해 왔다는 데에는 대체로 공감한다. 하지만 여전히 학교의 안과 밖에서 학생들의 인권은 위태롭다. 이런 상황을 점검해보기 위해 경기학생인권조례 공포 2년을 맞아 다문화, 성소수자, 장애, 탈학교 등의 학생들을 직접 만나 그들의 이야기를 통해 인권 현실을 짚어보는 기사를 4차례에 걸쳐 준비했다. 여전히 사회적 소수자로 살아가는 학생, 청소년들의 이야기를 통해 학생인권의 현 주소를 살펴보고자 한다 [편집자말]
▲ 인터뷰를 하고 있는 강단영 학생(왼쪽)과 이종선 학생 ⓒ 푸른솔
▲ 강단영 학생. ⓒ 푸른솔
▲ 이종선 학생.ⓒ 푸른솔
※ 글 : 푸른솔 (다산인권센터 자원활동가)
※ 오마이뉴스 원글 보기(링크)
'활동소식 > 청소년 소수자를 만나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청소년 소수자를 만나다④] 장애학생 강단영·이종선 (0) | 2012.09.28 |
---|---|
[청소년 소수자를 만나다③] 탈학교 선택한 정우현씨 (0) | 2012.09.28 |
[청소년 소수자를 만나다②] 동성애자 블랙잭 (0) | 2012.09.25 |
[청소년 소수자를 만나다ⓛ] 다문화 가정 학생 민수와 바다 (0) | 2012.09.21 |
[청소년 소수자를 만나다③] 탈학교 선택한 정우현씨[청소년 소수자를 만나다③] 탈학교 선택한 정우현씨
Posted at 2012. 9. 28. 16:17 | Posted in 활동소식/청소년 소수자를 만나다[청소년 소수자를 만나다③] 탈학교 선택한 정우현씨
오는 10월 5일이면 경기도교육청이 전국에서 최초로 경기도학생인권조례를 공포한 지 2년이 된다. 이후 서울, 광주 등 다른 지역 교육청에서도 학생인권조례를 만들어 시행 중이다. 경기도학생인권조례가 학생인권 존중이라는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학교 문화를 바꾸는 데 주도적인 역할을 해 왔다는 데에는 대체로 공감한다. 하지만 여전히 학교의 안과 밖에서 학생들의 인권은 위태롭다. 이런 상황을 점검해보기 위해 경기학생인권조례 공포 2년을 맞아 다문화, 성소수자, 장애, 탈학교 등의 학생들을 직접 만나 그들의 이야기를 통해 인권 현실을 짚어보는 기사를 4차례에 걸쳐 준비했다. 여전히 사회적 소수자로 살아가는 학생, 청소년들의 이야기를 통해 학생인권의 현 주소를 살펴보고자 한다 [편집자말]
최근 '탈학교 청소년', '홈스쿨링', '로드스쿨러' 등의 이름으로 학교를 다니지 않는 청소년들을 지칭하는 말들이 여럿 생겼다. 언어가 새롭게 생겨난다는 것은 그 언어로 불리는 무언가가 지금 사회에 얼마만큼의 영향을 끼친다는 것을 의미하기도 한다. 자발적으로 학교를 떠나는 청소년들이 점점 많아지고 있는 것도 이러한 영향을 반영한다. 그들을 바라보는 시선이 많이 달라지기도 했다지만, 여전히 '다녀야 할 학교에 다니지 않는' 청소년들은 '자퇴·퇴학생', '탈선·비행·불량 학생'의 울타리 안에 가둬지기도 한다.
▲ 탈학교 청소년 정우현(가명. 18)씨 ⓒ 난다
"학교에서 못 배워 학교에서 못 배워 학교에서는 딴 걸 배워친구를 밟고 올라서는 방법, 남들과 똑같아 지는 방법적당히 거짓말 하는 방법, 반복 반복 it's a cycle궁금해하지 않는 방법, 폭력에 익숙해지는 방법몰래 숨어서 조는 방법, 반복 반복 it's a cycle"- 일리닛, "학교에서 뭘 배워" (2010)
※ 글 : 난다 (청소년 인권행동 아수나로 활동가)
※ 오마이뉴스 원글 보기(링크)
'활동소식 > 청소년 소수자를 만나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청소년 소수자를 만나다④] 장애학생 강단영·이종선 (0) | 2012.09.28 |
---|---|
[청소년 소수자를 만나다③] 탈학교 선택한 정우현씨 (0) | 2012.09.28 |
[청소년 소수자를 만나다②] 동성애자 블랙잭 (0) | 2012.09.25 |
[청소년 소수자를 만나다ⓛ] 다문화 가정 학생 민수와 바다 (0) | 2012.09.21 |
[청소년 소수자를 만나다②] 동성애자 블랙잭[청소년 소수자를 만나다②] 동성애자 블랙잭
Posted at 2012. 9. 25. 10:38 | Posted in 활동소식/청소년 소수자를 만나다우리가 받은 벌이 에이즈? 선생님, 제발...
[청소년 소수자를 만나다②] 동성애자 블랙잭
오는 10월 5일이면 경기도교육청이 전국에서 최초로 경기도학생인권조례를 공포한 지 2년이 된다. 이후 서울, 광주 등 다른 지역 교육청에서도 학생인권조례를 만들어 시행 중이다. 경기도학생인권조례가 학생인권 존중이라는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학교 문화를 바꾸는 데 주도적인 역할을 해 왔다는 데에는 대체로 공감한다. 하지만 여전히 학교의 안과 밖에서 학생들의 인권은 위태롭다. 이런 상황을 점검해보기 위해 경기학생인권조례 공포 2년을 맞아 다문화, 성소수자, 장애, 탈학교 등의 학생들을 직접 만나 그들의 이야기를 통해 인권 현실을 짚어보는 기사를 4차례에 걸쳐 준비했다. 여전히 사회적 소수자로 살아가는 학생, 청소년들의 이야기를 통해 학생인권의 현 주소를 살펴보고자 한다. [편집자말]
▲ 청소년 성소수자 블랙잭 ⓒ 혜원
▲ 청소년 성소수자 블랙잭 ⓒ 혜원
'활동소식 > 청소년 소수자를 만나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청소년 소수자를 만나다④] 장애학생 강단영·이종선 (0) | 2012.09.28 |
---|---|
[청소년 소수자를 만나다③] 탈학교 선택한 정우현씨 (0) | 2012.09.28 |
[청소년 소수자를 만나다②] 동성애자 블랙잭 (0) | 2012.09.25 |
[청소년 소수자를 만나다ⓛ] 다문화 가정 학생 민수와 바다 (0) | 2012.09.21 |
[청소년 소수자를 만나다ⓛ] 다문화 가정 학생 민수와 바다[청소년 소수자를 만나다ⓛ] 다문화 가정 학생 민수와 바다
Posted at 2012. 9. 21. 14:25 | Posted in 활동소식/청소년 소수자를 만나다[청소년 소수자를 만나다ⓛ] 다문화 가정 학생 민수와 바다
오는 10월 5일이면 경기도교육청이 전국에서 최초로 경기도학생인권조례를 공포한 지 2년이 된다. 이후 서울, 광주 등 다른 지역 교육청에서도 학생인권조례를 만들어 시행 중이다. 경기도학생인권조례가 학생인권 존중이라는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학교 문화를 바꾸는 데 주도적인 역할을 해 왔다는 데에는 대체로 공감한다. 하지만 여전히 학교의 안과 밖에서 학생들의 인권은 위태롭다. 이런 상황을 점검해보기 위해 경기학생인권조례 공포 2년을 맞아 다문화,성소수자, 장애, 탈학교 등의 학생들을 직접 만나 그들의 이야기를 통해 인권 현실을 짚어보는 기사를 4차례에 걸쳐 준비했다. 여전히 사회적 소수자로 살아가는 학생, 청소년들의 이야기를 통해 학생인권의 현 주소를 살펴보고자 한다. [편집자말]
▲ 고등학생 민수는 엄마는 필리핀인이고 아빠는 한국인이다. 부모님의 이혼으로 현재 혼자 살고 있다.
▲ 바다는 "다문화라는 말이 너무 싫다"고 불편함을 표현했다.
▲ 민수와 바다는 "주변 사람들이 그냥 편하게 대해 주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 글 : 김경미 (다산인권센터 상임활동가)
※ 오마이뉴스 원글 보기(링크)
'활동소식 > 청소년 소수자를 만나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청소년 소수자를 만나다④] 장애학생 강단영·이종선 (0) | 2012.09.28 |
---|---|
[청소년 소수자를 만나다③] 탈학교 선택한 정우현씨 (0) | 2012.09.28 |
[청소년 소수자를 만나다②] 동성애자 블랙잭 (0) | 2012.09.25 |
[청소년 소수자를 만나다ⓛ] 다문화 가정 학생 민수와 바다 (0) | 2012.09.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