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아카이브/칼럼

[또하나의 약속]신화 '오빠들' 좋아하던 황유미, 그녀가 남긴 것


위 사진은 민중의소리에서 퍼왔습니다. http://www.vop.co.kr/A00000720161.html


신화 '오빠들' 좋아하던 황유미, 그녀가 남긴 것

[연속기고 ①] 신화를 추억하는 30대 동년배가 유미 씨에게


다산인권센터가 <또 하나의 약속> 영화 후기를 ① 신화와 황유미, 우리 어린 시절의 꿈 ② 내가 다니던 삼성과 <또 하나의 약속> ③ 진성전자 이 실장님은 지금 누구를 만나고 계실까요?라는 주제로 3회에 걸쳐 <프레시안>에 게재합니다. <편집자>

가끔 이런저런 이야기를 나누다 아이돌 그룹의 이야기가 나오면 움츠러드는 나를 느낀다. 언제부터인지 아이돌 그룹의 이름과 멤버들, 노래 제목을 잘 모를 때가 많다. 생명력이 짧은 가요 시장의 변덕스러움 탓도 있겠지만, 먹고 살기도 바쁜 것이 제일 큰 탓일 것이다. 어른이 되어도 '오빠들만 좋아할 거야', '30대가 되어도, 40대가 되어도'라고 생각했지만, 서른 중반을 향해 달려가고 있는 지금, 오빠들을 생각할 겨를은 없다. 그저 요즘 아이돌 그룹을 보면서 내 과거가 생각나 피식 웃음이 나올 뿐.

내 10대의 최고의 아이돌 그룹은 'H.O.T'였다. 그 시절 H.O.T는 상상 못 할 정도의 파괴력을 지니고 있었다. 같은 반의 젝스키스 팬들과 누가 더 멋지냐며 쌈박질도 좀 했고, 지금은 따라 부르지도 못하던 랩을 읊조리며 팬레터를 쓰기도 했다. 엄마에겐 독서실에 간다고 거짓말하고 팬클럽 창단식에도 가고, 어렵사리 콘서트 티켓을 '득템'해 감격의 눈물을 흘리기도 했다. 풍선을 휘두르며, 오빠들을 부를 때의 쾌감이란. 안 해본 자는 모른다. 

그다음 나의 로망은 신화였다. 신화의 브로마이드로 방 안에 도배를 하고, 가요 프로그램에 신화가 나올 때면 녹화해서 보고 또 보고, 친구들하고 수다를 떨며 신이 나기도 했다. 신화 2집의 T.O.P는 진리였다. 용돈을 털어 서점에 있는 잡지들을 사 모으고, 친구들끼리 좋아하는 연예인 사진을 나눠 가졌다. 시험 기간보다 중요한 것이 오빠들의 컴백 무대였고, 암기 과목보다 중요한 건 오빠들 노래 가사였다. 그 시절 나에게 신화와 H.O.T는 공부에 치이고, 숨 막히는 학교에서 벗어나는 게 해주는 유일한 안식처였다. 

나의 오빠들은 여전히 TV에 나온다. 이제 30대 중반을 바라보는 최장수 아이돌로. 그들만큼 나도 나이가 들었다. TV 안의 그들이 더는 설레거나 좋지는 않다. 다만 나의 추억을 공유할 중요한 존재이긴 하다. 나 외에도 <응답하라 1997>의 시대를 살았던, 수많은 이들이 그러하리라. 
 
▲ 고 황유미(사망 당시 23세) 씨가 남긴 원조 아이돌 신화의 사진들. ⓒ다산인권센터

▲ 고 황유미(사망 당시 23세) 씨가 남긴 원조 아이돌 신화의 사진들. ⓒ다산인권센터


"우리 유미는 신화를 좋아했어요."

정말 그랬다. 유미 씨의 유품이라며 보여 준 노트와 사진첩에는 신화의 얼굴이 빼곡히 붙어 있었다. 유미 씨의 노트와 사진첩을 보며 과거의 나의 흔적을 보는 것 같았다. 얼굴 한 번 본적 없지만 비슷한 세대를 살았던 동질감, 신화에 대한 동료애(?)가 느껴졌다. 오래된 사진첩과 노트를 보며 상상해본다. 수업이 끝나길 기다려 속초 시내 서점으로 달려가, 어떤 잡지에 더 신화가 많이 나왔을까 비교하는 모습, 신화 멤버들을 사진을 정성스레 오려, 혹여나 삐뚤어지게 붙이진 않을까 조바심내는 모습, 신화의 테이프를 들으며, 사진첩을 보고, 혼자 웃었을 모습. 내 과거를 그려보는 것처럼, 그녀 역시 비슷한 시절을 겪지 않았을까 생각해본다. 

그녀의 부모님은 아직도 신화의 얼굴이 빼곡한 사진첩과 노트를 간직하고 계셨다. 하도 많이 들여다봐서 이제는 너덜너덜해진 노트와 사진첩. 그녀가 정성스레 모았을, 그녀가 좋아했던 신화의 사진을 보며, 그녀의 부모님은 유미 씨의 얼굴을 떠올렸을 것이다. 딸을 먼저 보내고 7년 동안 딸의 흔적 한 자락이라도 붙잡으려는 부모님의 아픔이 눈에 선하다. 

신화를 좋아했던 그녀의 이름은 황유미. 나는 그녀를 한 번도 만나본 적이 없다. 파르라니 깎은 머리, 곧 쓰러질 듯 위태롭게 앉아 있는 살아생전의 그녀 사진만을 만났을 뿐이다. 신화를 좋아하며 까르르 웃었을 듯한 10대의 그녀는 없었다. 그녀의 온몸을 잠식해갔던 고통스러운 병의 기운과 죽음의 흔적만이 남아있을 뿐이었다. 그녀 생전에 이런 날이 올 줄 알았을까? 그녀의 이름과 그녀의 사건이 온 국민의 입에 오르내리는 날이 올 줄이나 상상했을까? 어느 거대 공장의 부품처럼 살았을 그녀는, 이제 어느 영화의 여주인공이 되어 있었다. 영화 <또 하나의 약속>의 여주인공, 황유미가 되었다.

신화를 좋아했던 10대 소녀는, 어려운 집안 형편 때문에 대학에 가기보다는 하루빨리 일하기를 택할 수밖에 없었다. 힘들게 택시 운전을 하는 아빠에게 용돈을 드리는 것, 사랑하는 엄마에게 첫 월급으로 내복을 사드리는 것, 동생이 대학 등록금 걱정 안 하고 공부할 수 있도록 하는 것. 그녀가 바란 소박한 것이었다. 삼성은 그녀의 소박한 꿈을 이뤄줄 수 있는 곳이었다. 세계 최고의 기업. 유미 씨와 같은 그녀들을 오퍼레이터라고 부르며 산업역군이라 칭해 주는 곳. 연기 없는 공장이라는 세계 일류 반도체 라인. 세계 일류의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반도체 공장은 어린 여성 노동자들의 집합소였다. 속초에서, 군산에서 고등학교를 갓 졸업한 여성들이 모여들었다. 
 
▲ 고 황유미(사망 당시 23세) 씨가 남긴 사진첩. '나의 연예인(가수) 사진 모음. 1997~1998년까지'라고 적혀 있다. 황유미 씨는 신화의 팬이었다. ⓒ다산인권센터

▲ 고 황유미(사망 당시 23세) 씨가 남긴 사진첩. '나의 연예인(가수) 사진 모음. 1997~1998년까지'라고 적혀 있다. 황유미 씨는 신화의 팬이었다. ⓒ다산인권센터

 
유미 씨도 그중 한 명이었다. 작업 물량을 맞추기 위해 쉬는 시간 없이 일했고, 동료인 언니와 동생들에게 폐를 끼치지 않기 위해 열심이었다. 일을 하다 보면 점심시간이 지나가기 일쑤였고, 화장실에서 빵으로 끼니를 때우기도 했다. 생리 예정일이 지나도, 얼굴이 하얗게 되어도, 매일 피곤해도 그저 처음 해 본 일에 몸이 적응하는 거라고 생각했다. 이름도 알 수 없는 화학 약품이 건강한 세포들을 죽이고, 몸을 잠식해가고 있다고 느낄 수 없었다. '그저 감기일 거야, 그저 피곤해서 그런 걸 거야.' 화학 약품이 자신을 파괴한다고 생각할 수 없었던 건, 학교나 삼성에서 화학 약품에 대한 안전 교육을 받아본 적이 없기 때문이었다. 23살의 유미 씨는 그렇게 사라져갔다. 같은 라인의 언니가 백혈병에 걸렸던 것처럼, 같은 공장의 어느 언니가 유산한 것처럼, 같은 회사의 엔지니어가 백혈병에 걸린 것처럼. 

그녀는 죽어서야 사람들의 머릿속에 기억되었다. 반도체 공정에서 직업병으로 죽어간 23살의 황유미로. 영화 <또 하나의 약속>의 여주인공으로. 반도체 공정에서 일한 첫 산재 인정 노동자로. 그녀의 죽음이 알려진 이후 반도체 공정에서 일했던 피해자들의 제보가 줄을 잇고 있다. 

아직도 수많은 유미 씨들은 반도체 공정에서 일할 것이고, 아직도 수많은 유미 씨들은 투병 중일 것이다. 그리고 또 다른 수많은 유미 씨들은 이미 세상을 떠났다. 잔인한 순백의 방진복 속에 젊디젊은 20대 청춘들의 꿈이 묻혀 버렸다. 그저 반도체 공정에서 일했던 한 사람이 아니라, 그들은 누군가의 딸이었고, 누군가의 가족이었고, 누군가의 친구였고, 누군가의 사랑이었고, 자기 인생의 주인공이었을 것이다. 직업병으로 잃은 것은 바로 자기 인생의 주인공이었던 이들의 삶이었다. 신화를 좋아했고, 냉면을 좋아했고, 언젠가 돈을 벌어 대학에 가고 싶었을 유미 씨가 주인공인 그녀의 삶과 미래가 죽어간 것이다. 그녀들이 일했던 삼성은 몇십 명이나 되는 주인공들이 죽어간 비극에 대해 침묵하고 있다. 

영화 <또 하나의 약속>은 그러하기에 중요하다. 누군가의 삶을 앗아간 이들의 불편한 침묵. 그들의 침묵과 싸우려는 이들의 외침을 담담하게 그려낸다. 수많은 주인공이 죽어간 이유에 관해 이야기하는 소중한 기회가 많은 이들에게 주어지길 바란다. 

신화는 20대의 풋풋함 그대로 유미 씨의 노트와 사진첩에서 빛나고 있다. 지금은 30대가 훌쩍 넘은 그들은 여전히 건재하다. 신화 멤버들과 같이 팬들도 같이 나이 들어갔다. 지금 내가 20대의 신화를 기억하는 30대 중반이 되어버린 것처럼. 아마 유미 씨가 살아있었다면 그녀 역시도 지금의 신화를 보며 자신의 10대를 추억하고 있을 것이다. 살아서 삶을 추억할 수 없었던 유미 씨. 영화 속 주인공이 될 수밖에 없었던 그녀의 삶에 애도를 표하며, 나와 함께 추억을 공유했던 그녀가 부디 하늘에서는 행복하길 바란다.